반응형
SMALL
<< 현재 세팅 >>
- 각각 SW1과 SW2를 이름으로 하는 스위치가 2개가 있다.
- 각각의 스위치에는 3개의 PC가 연결되어있다.
- IP 정보는 PC0부터 차례대로 1.1.1.1, 2.2.2.1, 3.3.3.1
그리고 PC3부터 차례대로 1.1.1.2, 2.2.2.2, 3.3.3.2 로 연결되어 있다.
- vlan과 포트 연결은 아래 사진을 보면 더욱 쉽게 알 수 있다.
위 실습에서 주목해야할 부분은 SW1과 SW2 각각의 'Gig0/1'과 'Gig0/2' 포트에
각각 vlan 10과 vlan 20을 연결해주었다는 부분이다.
만약 저게 없다면, PC0에서 $ ping 1.1.1.2 를 해도
정상적으로 반응이 오지 않는다.
PC0과 PC3 사이에 vlan이 설정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는 vlan 10, vlan 20까지만 연결해주었기 때문에
(pc0-pc3), (pc1-pc4) 는 ping이 잘 날라가지만
(pc2-pc5)는 아직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렇게 하나하나 다 연결해주어야 하는걸까?
연결해 줄 때마다 두 개의 스위치 사이를 연결해주는
선도 하나씩 점점 늘어가는데?
그냥 하나로 묶는 방법은 없을까?
이를 해결하기 위해 trunk 를 사용한다.
=> 현재는 access 모드로 되어있는데,
이를 trunk 모드로 변경한다.
변경 방법은 다음 포스트 참고..!
반응형
LIST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웨이 핸드셰이킹이란? + 연결/해제 과정 (0) | 2023.09.30 |
---|---|
[네트워크] access 모드에서 trunk 모드로 변경하기 - 패킷 트레이서를 이용한 실습 (2) (0) | 2023.09.27 |
VLAN의 필요성 및 동작원리 (0) | 2023.09.25 |
Native VLAN 이해 (0) | 2023.09.25 |
Trunk 동작원리 (0) | 2023.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