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JPA3

단방향 연관관계 : Single-Valued Association department 테이블과 student 테이블은 일대다 관계이다. (학생 여러명이 학과 한 개에 소속되어 있기에) 그리고, student 테이블의 departmentId 필드는 소속 학과를 가르키는 외래키(foreign key) 이다. 보통 '다' 쪽에 외래키가 존재한다. 외래키가 존재한 '다' 쪽에 Single-Valued Association 을 구현하면 된다. 외래키가 포함된 student 객체에 department 멤버 변수를 구현하자. * 학생 여러명이 학과 한 개에 소속되어 있다 => @ManyToOne * 학생 테이블의 외래키는 departmentId 필드이다 => @JoinColumn(name= "departmentId") * 학생이 속한 학과는 한개이다 => Department dep.. 2023. 11. 9.
JPA 기초 1) REST API : 클라이언트의 URL 요청에 대해서 JSON 형태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버의 메소드 2)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흔히 사용되는 포맷. JS언어의 객체나 배열의 문법과 동일하다. 3) @RestController - Spring MVC 프레임웍에서 REST API 서비스를 구현할 때, 컨트롤러에 붙이는 애노테이션. - @RestController 가 붙은 액션 메소드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기에 뷰가 필요없다. 그래서 뷰 대신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리턴한다. - 리턴하는 자바 객체는 자동으로 JSON 포맷으로 변환되어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된다. 4) @ResponseBo.. 2023. 11. 8.
23.09.06.이제 익숙해지기 시작한다. 김영한님의 spring 핵심 강의를 다 듣고, 그 분께서 '야생형' 개발자 타입은 바로 jpa 활용편을 들어보라고 하셨다. 그 말에 바로 jpa 활용편 강의를 보았는데 @Entity 어노테이션이 무엇인지도 몰라서 검색하는 나를 보며 안되겠다 싶었다. 심지어 그 강의에서도 이걸 모른다면 기본편을 듣고 오라했다... 그래서 바로 jpa 기본편 강의를 구매하고 보기 시작했다. 이게 무엇인가, 연관관계는 뭐가 이리 많은가, db 연결은 도대체 왜 실패하는 것인가! 를 반복하다가 오늘 처음으로 연관관계가 이해되기 시작했고, maven 을 사용한 프로젝트 구성은 실패했지만(H2 db연결이 끝내 안됨... hibernate 오류가 자꾸 난다), 대신 gradle 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구성하였다. 이제 오류없이 잘 .. 2023. 9. 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