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우테코2

[2] 2일차.. 오늘은 그래프 최단거리 BFS 이해하자 풀었다 !! 예에에에~~~ 확실히 여러번 보니까 이해가 가는군! 교수님께서 해주셨던 말씀이 생각난다. "처음보니까 어려운 건 당연한 거에요. 여러번 계속해서 반복해서 자꾸 보다보면 익숙해지고 쉬워져요" 감사합니다 ㅎㅎㅎ 그리고 이제 DFS 기초 문제들을 풀어보자! 1. DFS 요녀석... BFS와 이름은 비슷한데 또 달라서 나를 헷갈리게 해! 재귀함수 생각 잘해야겠다. 증말. 간단한 코드와 그렇지 못한 속내... 그래도 재밌다 재밌다 재밌다. 와하하. 2. 2024. 3. 1.
[1] 24.02.28(수) - BFS 기초 복습 몇번을 새로 시작하는지 모르겠다. 코딩테스트... 나의 실력... 계속 제자리를 맴도는 듯하다. 하지만 다시 해보자! 계속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해보자! 우선 현재의 GOAL! 아래의 기초 문제들을 술술술 막힘없이 푼다. 흑흑... Node class 짜는 것부터 막힌다 ㅠㅠㅠ 그림 그려가면서! 이해하면서! 차근차근 해보자. 1. 이 문제 푸는 것도 오래걸렸다. ㅠㅠ Node class 에서 data = val; 을 val=data; 라고 하고... 하지만 어찌 저찌 풀었다. 우선 다음 문제로 넘어가보자! 2. 송아지 찾기 문제 이 문제도 해결했지만 여전히 오래걸렸다. 마지막에 level을 그냥 리턴하는게 아니라 level + 1 을 리턴한다는점! distance 배열을 이용하는 아이디어 기억해두자. 그.. 2024. 2. 28.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