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ithub에 리포지토리 생성
2. 리포지토리 URL복사( ex> https://github.com/haeunsong/study.git )
3. 로컬에서 프로젝트를 관리할 로컬 디렉토리 저장소를 새로 생성하고 $ git init 명령어 입력
-> 폴더 안에 .git 폴더 생성 (숨겨져있음)
4. $ git remote add origin 리포지토리주소를 입력한다->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원격 저장소가 등록되었다는 의미
-> origin말고 다른 이름으로 해도 된다.(ex> $ git remote add react 주소)
-> $ git remote -v 를 입력하면 내가 설정해둔 원격저장소 이름(별칭)과 URL을 확인할 수 있다.
-> 만약 원격연결을 해제하고 싶으면 $ git remote remove 이름(별칭) 을 하면 된다.
-> (비주얼 코드로 하고 있다면) 여기까지 하고 일단 비주얼 코드 재로드 (내 상황에서는 이렇게 해야 오류가 안남)
6. 로컬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원격저장소로 push
-> git push -u <원격저장소별칭> <현재브랜치 이름>
-> $ git push -u origin master
-> 이 과정에서 오류나면 먼저 pull 하기( $ git pull <원격저장소별칭> <브랜치이름> )
ex> $ git pull origin master(원격저장소의 변경사항 가져와서 병합하기)
7. 이후부터는 $ git add 파일이름, $ git commit -m "커밋메시지", git push 등등으로 관리
8. 깃허브 확인하면 정상적으로 올라감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 (0) | 2021.02.04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