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풀어나간 순서>
1. 문제조건의 자연수 N -> 1<=N<=1000
2. 등차수열 공식 -> if)수열 a,b,c => 2*b = a+c
3. 예제를 보면 110까지의 한수는 99개가 있다. 그런데 여기서 100부터 110까지 한수는 없다.
즉, 1~99 모두를 한수로 보고있다는 뜻이다. => 세 자릿수만 파악하면 되겠구나
4. 이후 쭉 작성
package Baekjoon;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count=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args) {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int n = kb.nextInt();
if(n>=1 && n<100)System.out.println(n);
else {
count=99;
for(int i=100;i<=n;i++) {
sol(i);
}
System.out.print(count);
}
}
static void sol(int i) {
int a = i/100 ;
int b = (i%100) / 10;
int c = (i%10);
if(2*b==a+c)
count++;
}
}
반응형
LIST
'백준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751번 : 수 정렬하기2 - 시간초과 문제해결 - Collections.sort() 사용하기 (0) | 2023.06.29 |
---|---|
[python] 백준 1924: 2007년 (0) | 2021.06.05 |
[python] 백준 1157번: 단어공부 (0) | 2021.05.14 |
백준 4673번 : 셀프넘버 (0) | 2020.09.24 |
백준 10828번 : 스택 (0) | 2020.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