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ARP 프로토콜

by watergrace2u 2023. 9. 25.
반응형
SMALL

1. ARP 프로토콜이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MAC 주소를 IP 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더라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IP주소와 MAC주소가 모두 필요한데,

이 때  IP주소는 알고 MAC 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2. ARP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과정

 

(현재 IP주소는 알고, MAC주소는 모름)

1. A 컴퓨터가 ARP 요청 프로토콜을 만든다.

이 때, 목적지 MAC주소를 아직 모르므로, 000000으로 일단 비워둔다.

맨 마지막은 목적지 IP 주소이다.

 

2. Ethernet 프로토콜을 인캡슐레이션한다.

목적지 MAC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모두 FF 로 작성해둔다.

즉, 이것은 이진수로 바꾸면 모두 1로 채운 것인데, 이는 브로드캐스트 주소가 된다.

그래서 이 프로토콜을 작성해서, 모두에게 다 보낸다. 일단 모두에게 보내기. - 플러딩

 

3. 가운데 스위치는 받아서 2계층까지만 디캡슐레이션을 한다. (스위치가 2계층 장비이기 때문에)

그리고 스위치 말고도 받은 모두는 다 디캡슐레이션을 해본다.

그런데 여기서! 다 까보니까 본인의 IP주소와 목적지 IP주소가 일치하지 않는 것과 일치하는 것이 있다.

일치하지 않는 것들은 그냥 패킷을 버린다. 일치하는 것들은 ARP 응답을 만든다. 

 

이제 출발지 MAC주소에 자기의 MAC주소를 써서 준다.

(비교)

처음것

이 때는 목적지 MAC주소를 알고 있기 때문에 굳이 브로드캐스트를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스위치를 거쳐 A에게 잘 전달이 된다. 

 

그리고 A는 ARP 캐시 테이블에 등록한다.

 

cf. https://www.youtube.com/watch?v=LDsp-Xb168E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