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전체 글118

단방향 연관관계 : Single-Valued Association department 테이블과 student 테이블은 일대다 관계이다. (학생 여러명이 학과 한 개에 소속되어 있기에) 그리고, student 테이블의 departmentId 필드는 소속 학과를 가르키는 외래키(foreign key) 이다. 보통 '다' 쪽에 외래키가 존재한다. 외래키가 존재한 '다' 쪽에 Single-Valued Association 을 구현하면 된다. 외래키가 포함된 student 객체에 department 멤버 변수를 구현하자. * 학생 여러명이 학과 한 개에 소속되어 있다 => @ManyToOne * 학생 테이블의 외래키는 departmentId 필드이다 => @JoinColumn(name= "departmentId") * 학생이 속한 학과는 한개이다 => Department dep.. 2023. 11. 9.
JPA 기초 1) REST API : 클라이언트의 URL 요청에 대해서 JSON 형태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버의 메소드 2)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흔히 사용되는 포맷. JS언어의 객체나 배열의 문법과 동일하다. 3) @RestController - Spring MVC 프레임웍에서 REST API 서비스를 구현할 때, 컨트롤러에 붙이는 애노테이션. - @RestController 가 붙은 액션 메소드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기에 뷰가 필요없다. 그래서 뷰 대신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리턴한다. - 리턴하는 자바 객체는 자동으로 JSON 포맷으로 변환되어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된다. 4) @ResponseBo.. 2023. 11. 8.
[아두이노] 시프트레지스터 74HC595 이용한 LED 순차점등 실습 # shiftOut(dataPin, clockPin, bitOrder, value) 앞의 두개는 아두이노의 핀 번호. Data핀, clock핀. 세번째는 MSB 또는 LSB 정보. 네번째는 데이터.(byte) # bitWrite(x,n,b) 예를 들어, bitWrite(16, 2, 1)은 숫자 16의 비트인 00010000를 대상으로 비트위치 2에 값 1을 쓴다. 즉 bitWrite(16, 2, 1)를 실행하면 00010100가 된다. 사실... 저 코드를 완벽히 이해를 못했다... 내일 시험인데..! 그래도 시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알았다. 어디에 선을 연결하고, 핀을 연결하는지, bitWrite() 함수와 shiftOut() 함수. 이해는 안되지만, 우선 외워보자. 우선 외워두면 나중에 계속.. 2023. 10. 18.
3-웨이 핸드셰이킹이란? + 연결/해제 과정 1. 3-웨이 핸드셰이킹 이란? (3-way handshaking) cmd 창에 $ netstat -an 명령어를 쳐보면 다음과 같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이 중에서 맨 마지막 '상태' 부분이 TCP의 연결 상태 정보이다. TCP는 패킷을 주고 받기 전에 미리 연결을 맺어 가상 경로를 설정하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이다. TCP에는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연결을 종료하는 과정이 존재하는데, 이 중 연결 설정 과정을 '3-웨이 핸드셰이킹'이라고 한다. 2. 3-웨이 핸드셰이킹 과정 (연결 설정 과정) 1. 두 시스템이 통신을 하기 전에 클라이언트는 포트가 닫힌 Closed 상태이고, 서버는 언제나 해당 포트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Listen 상태이다. 2. 클라이언트가 처음 통신을 하려고 하면.. 2023. 9. 3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