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전체 글118

Trunk 동작원리 가정) 두 개의 스위치가 있다. 각각의 스위치에 3개의 PC가 연결되어있다. 그리고 각각 VLAN 1번포트, 2번포트, 3번포트를 가지고 있다. Trunk Port 의 필요성 VLAN정보를 떼고, 프레임만 내보내는 포트를 'access 포트'라고 이야기한다. 만약 이 방식으로 연결하는데 서로 다른 스위치끼리 통신하려 한다, VLAN이 50개인 경우, 스위치와 스위치 사이에 50개를 연결해야한다. 그러면 48V 스위치라면, VLAN을 48개 밖에 연결을 못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트렁크 포트를 사용한다. 스위치와 스위치 사이에 각각의 VALN별로 연결되는 걸 없애고, 기존에 있었던 VLAN 정보를 그대로 전달해보자! ) 만약, VLAN1에 연결되어있는 PC가 Frame을 전송하면, 스위치 내부에서는.. 2023. 9. 25.
ARP 프로토콜 1. ARP 프로토콜이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MAC 주소를 IP 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더라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IP주소와 MAC주소가 모두 필요한데, 이 때 IP주소는 알고 MAC 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2. ARP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과정 (현재 IP주소는 알고, MAC주소는 모름) 1. A 컴퓨터가 ARP 요청 프로토콜을 만든다. 이 때, 목적지 MAC주소를 아직 모르므로, 000000으로 일단 비워둔다. 맨 마지막은 목적지 IP 주소이다. 2. Ethernet 프로토콜을 인캡슐레이션한다. 목적지 MAC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모두 FF 로 작성해둔다. 즉, 이것은 이진수로 바꾸면 모.. 2023. 9. 25.
[아두이노] 푸시버튼을 이용하여 LED 켜기 전원을 누르면 5V에서 전류가 흐른다. 디지털 핀 2는 버튼을 누르지 않았을 때는 0V, 눌렀을 때는 5V를 가진다. 2023. 9. 21.
[아두이노] LED 교대로 깜빡거리기 - 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서는 서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연결해야한다. - gnd를 브레드보드의 - 부분에 연결한다. 보통 검은색 선. - 저항의 한쪽 끝은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 2023. 9. 21.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