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네트워크7 3-웨이 핸드셰이킹이란? + 연결/해제 과정 1. 3-웨이 핸드셰이킹 이란? (3-way handshaking) cmd 창에 $ netstat -an 명령어를 쳐보면 다음과 같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이 중에서 맨 마지막 '상태' 부분이 TCP의 연결 상태 정보이다. TCP는 패킷을 주고 받기 전에 미리 연결을 맺어 가상 경로를 설정하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이다. TCP에는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연결을 종료하는 과정이 존재하는데, 이 중 연결 설정 과정을 '3-웨이 핸드셰이킹'이라고 한다. 2. 3-웨이 핸드셰이킹 과정 (연결 설정 과정) 1. 두 시스템이 통신을 하기 전에 클라이언트는 포트가 닫힌 Closed 상태이고, 서버는 언제나 해당 포트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Listen 상태이다. 2. 클라이언트가 처음 통신을 하려고 하면.. 2023. 9. 30. [네트워크] access 모드에서 trunk 모드로 변경하기 - 패킷 트레이서를 이용한 실습 (2) 기존의 access mode를 trunk mode로 바꿔주면 된다. no 명령어를 사용해서 access mode를 똑같이 해제해주고 sw m t 명령어로 트렁크 모드를 설정해준다. 설정 결과는 아래와 같다. 아래처럼 PC2에서 PC5로 ping을 날려주면 잘 작동이 된다. 2023. 9. 27. [네트워크] Trunk가 필요한 이유 - 패킷 트레이서를 이용한 실습 (1) > - 각각 SW1과 SW2를 이름으로 하는 스위치가 2개가 있다. - 각각의 스위치에는 3개의 PC가 연결되어있다. - IP 정보는 PC0부터 차례대로 1.1.1.1, 2.2.2.1, 3.3.3.1 그리고 PC3부터 차례대로 1.1.1.2, 2.2.2.2, 3.3.3.2 로 연결되어 있다. - vlan과 포트 연결은 아래 사진을 보면 더욱 쉽게 알 수 있다. 위 실습에서 주목해야할 부분은 SW1과 SW2 각각의 'Gig0/1'과 'Gig0/2' 포트에 각각 vlan 10과 vlan 20을 연결해주었다는 부분이다. 만약 저게 없다면, PC0에서 $ ping 1.1.1.2 를 해도 정상적으로 반응이 오지 않는다. PC0과 PC3 사이에 vlan이 설정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는 vlan 10, vla.. 2023. 9. 27. VLAN의 필요성 및 동작원리 1. VLAN이 왜 필요한가? 각각의 부서가 Switch를 통해 각각의 DB에 접속해야 한다. 그런데 만약 Switch가 24포트를 가지고 있다면, 그림에서 각각 4개씩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나머지 20포트는 미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너무 비효율적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할까? 하나의 스위치로 모두 연결해보자. 그런데 이렇게 하면, HR 부서에서만 접근해야하는 서버에, 다른 부서도 접근할 수 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VLAN 기술이 필요하다. 2. VLAN은 어떻게 동작할까? 스위치가 8개의 포트를 가지고 있다. 스위치를 사면, 모두 VLAN1번으로 세팅되어 있다. 모두 1번 VLAN으로 세팅된 곳에, 2번, 3번 VLAN을 만든다. HR부서는 VLAN2번, Enginner부서.. 2023. 9. 25. 이전 1 2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