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네트워크7 Native VLAN 이해 트렁크 포트에서 특정 VLAN 하나에 대해서는, VLAN정보를 달고 보내지 말자라고 지정한다. 100개의 VLAN정보가 트렁크 포트로 돌아다니는데, 한 개의 VLAN만 정보가 없다면, 해당 VLAN이 몇번인지 알 수 있다. 이것을 Native VLAN이라고 한다. 아래 그림에서 각각의 트렁크 포트에 Native VLAN 을 2번으로 설정한다. 그러면, VLAN2번에 대해서는 프레임을 달고 내보내지도 않고, 프레임이 들어왔는데 VLAN 정보가 없으면 자동으로 2번으로 인식한다. 1. PC가 Frame을 전송하면, 2. Hub가 나머지 포트로 Frame을 플러딩하고, 3. 스위치는 정보를 받아서 VLAN정보가 없지만, 자동으로 native VLAN 을 참고해서 2번을 달아준다.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모든 .. 2023. 9. 25. Trunk 동작원리 가정) 두 개의 스위치가 있다. 각각의 스위치에 3개의 PC가 연결되어있다. 그리고 각각 VLAN 1번포트, 2번포트, 3번포트를 가지고 있다. Trunk Port 의 필요성 VLAN정보를 떼고, 프레임만 내보내는 포트를 'access 포트'라고 이야기한다. 만약 이 방식으로 연결하는데 서로 다른 스위치끼리 통신하려 한다, VLAN이 50개인 경우, 스위치와 스위치 사이에 50개를 연결해야한다. 그러면 48V 스위치라면, VLAN을 48개 밖에 연결을 못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트렁크 포트를 사용한다. 스위치와 스위치 사이에 각각의 VALN별로 연결되는 걸 없애고, 기존에 있었던 VLAN 정보를 그대로 전달해보자! ) 만약, VLAN1에 연결되어있는 PC가 Frame을 전송하면, 스위치 내부에서는.. 2023. 9. 25. ARP 프로토콜 1. ARP 프로토콜이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MAC 주소를 IP 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더라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IP주소와 MAC주소가 모두 필요한데, 이 때 IP주소는 알고 MAC 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2. ARP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과정 (현재 IP주소는 알고, MAC주소는 모름) 1. A 컴퓨터가 ARP 요청 프로토콜을 만든다. 이 때, 목적지 MAC주소를 아직 모르므로, 000000으로 일단 비워둔다. 맨 마지막은 목적지 IP 주소이다. 2. Ethernet 프로토콜을 인캡슐레이션한다. 목적지 MAC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모두 FF 로 작성해둔다. 즉, 이것은 이진수로 바꾸면 모.. 2023. 9. 25. 이전 1 2 다음 반응형 LIST